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젤 엔진 본체의 구성 【디젤 엔진 본체의 구성】 디젤 엔진은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가 조립되고 하단부에 오일팬, 전면부에 냉각 팬을 조립하는 댐퍼 및 엔진 회전력을 이용하기 위한 벨트가 장착됩니다. 그리고 후면부에는 클러치와 연결될 플라이휠이 들어있는 플라이휠 하우징이 조립됩니다. 엔진 외부에는 흡배기 장치 및 터보차져, 연료펌프와 연료필터 등 연료공급장치, 엔진 전자제어장치 등 각종 센서 부품들이 조립되어 있습니다. 실린더 블록 내부에는 크랭크 샤프트, 커넥팅 로드, 피스톤, 실린더 라이너, 캠 샤프트 등이 조립되어 있습니다. 실린더 블록 : 주물로 이루어진 엔진의 몸체로 내부에는 엔진 오일과 냉각수가 흐를수 있도록 각각의 경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크랭크 샤프트와 커넥팅로드, 피스톤이 조립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습니다. .. 더보기 디젤 엔진의 구성 트럭에서 주로 사용하는 디젤 엔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디젤 엔진 : 경유(또는 중유)를 연료로 사용하며 압축, 연소에 따라 작동하는 왕복 운동형 내연기관을 말합니다 【디젤 엔진의 작동 원리】 디젤 엔진은 흡기 행정에서 공기만을 흡입하고 압축하여 약 500℃ 정도의 고온이 되게 한 다음 연료를 분사하여 자연 착화시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입니다. 【디젤 엔진의 구성】 디젤 엔진 본체 : 실린더 블록, 실린더 헤드, 크랭크 샤프트, 커넥팅 로드, 피스톤, 실린더 라이너, 캠 샤프트, 흡배기 밸브, 오일 팬, 냉각 팬, 플라이휠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를 말한다. 연료 공급 장치 : 연료 탱크, 연료공급 펌프, 연료 필터, 분사펌프, 고압펌프, 분사노즐, 고압펌프, 커먼레일, 인젝터 등 엔진 냉각 장치 : .. 더보기 트럭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 트럭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i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력전달장치는 동력을 전달하는 일련의 기구를 말하고, 동력 전달계라고도 합니다. 트럭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량의 주행 조건에 적합한 토크로 변환하여 구동축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엔진의 동력을 차단하고 연결하며, 차량의 주행속도와 등판 능력을 제어합니다. 【트럭 동력전달장치의 구성】 트럭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 클러치, 미션, 구동축(Propeller Shaft), 감속기(리어 액슬 - Rear Axl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엔진(Engine) : 차량의 동력을 생산하는 장치입니다. 사용 연료에 따라 디젤 엔진, 가솔린 엔진, LPG 엔진, LNG 엔진, CNG 엔진 등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내.. 더보기 트럭의 기본제원(Dimension) 트럭의 기본적인 제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트럭의 기본제원은 다음과 같은 많은 용어들이 있습니다. 그 다양한 용어들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용 어 의 미 전장 OVERALL LENGTH 자동차의 길이를 자동차의 중심면과 접지면에 평행하게 측정했을 때 부속물(범퍼,후미등)을 포함한 길이 전폭 OVERALL WIDTH 자동차의 너비를 자동차의 중심면과 직각으로 측정했을 때의 부속물을 포함한 최대너비 전고 OVERALL HEIGHT 접지면에서 자동차의 가장 높은 부분까지의 높이 (최대적재상태일 때는 이것을 명시, 안테나는 가장 낮춘 상태) 축거 WHEEL BASE 앞뒤 차축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수평거리 (차축이 3개인 것은 제1축거, 제2축거로 표시하며 좌우가 다른 축거는 각각 따로 표시, 세미트레일.. 더보기 트럭의 구조 트럭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럭의 구조는 캡 바디 부분과 샤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량 목적과 용도에 따라 적재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캡 바디는 차량을 조정할 수 있는 운전석이 있으며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샤시 부분은 차량의 주요 장치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을 비롯하여 이 동력을 구동축 바퀴에까지 전달해주는 동력전달장치들과 차량의 운전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조향장치 그리고 차량을 멈추게 해주는 제동장치등 갖가지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동력발생장치와 동력전달장치는 차량의 구성품중에서 핵심입니다. 여기에는 차량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이 동력을 전달해 주는 장치로 속도를 조절해 줄 있는 변속기, 동력을 전달해 주는 축 그리고 동력을 바퀴로 전.. 더보기 적재함에 따른 트럭의 종류 트럭을 적재함에 따라서 분류를 해 볼게요. 트럭은 어떤 적재함이 장착되었느냐에 따라 부르는 명칭도 각양각색입니다. 우선 크게 적재함의 종류에 따라 다음 3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수송용 트럭 : 카고와 트랙터 건설용 트럭 : 덤프와 믹서 특장용 트럭 : 특장 장치가 장착된 트럭(윙바디, 냉동/냉장탑차, 소방차, 사다리차, 집게차, 스카이차, 콘크리트 펌프카, 암롤트럭 등) 수송용 트럭 건설용 트럭 카고(Cargo) 트랙터(Tractor) 덤프(Dump) 믹서(Mixer) 수송용 트럭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중/단거리 운행 트럭 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운송하는 장거리 운행 트럭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흙, 모래, 자갈등을 운반하는 트럭 콘크리트를 건설현장으로 운반하는 트럭 특장용 트럭 캡 샤시 형태(적재함.. 더보기 트럭 캡 형태에 따른 분류 트럭의 캡 형태에 따른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캡(cab)은 사전적으로 (버스·기차·트럭의) 운전석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운전석을 포함한 트럭의 앞부분 전체를 말합니다. ▶ 캡의 형태에 따른 분류 본넷트(BONNET) 타입 캡 오버(CAB OVER) 타입 세미 본넷트(SEMI BONNET) 타입 엔진룸이 차량 전면부에 돌출되어 별도공간으로 구분되어 실내공간과 분리되어 있다. 주로 미국에서 많이 사용된다. 실내공간 아래에 엔진룸이 존재하여 적재물 위주의 공간 활용이 여유롭다. 국내 트럭에 주로 사용된다. 본넷트 타입과 캡오버 타입의 중간 형태로 국내에서 승합차로 주로 사용된다. ▶ 캡 오버(CAB OVER) 타입의 용도에 따른 분류 데이(DAY) 슬리퍼(SLEEPER) 하이루프(HIGH ROOF) 크루.. 더보기 트럭의 정의와 유형별 분류 자동차관리법을 기준으로 트럭의 정의와 유형별 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럭은 크게 화물자동차와 특수자동차로 구분합니다. ▶ 화물자동차 : 주로 화물을 운반하기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를 말합니다. ▶ 특수자동차 : 특별한 설비를 필요로 하는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하거나 특별한 작업요인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자동차로서 승용·승합·화물자동차외의 자동차를 말합니다. ■ 트럭의 유형별 분류 종 별 유형별 분류명칭 유형별 분류 내용 예 화물자동차 일반형 보통의 화물 운송용인 것 카고트럭 덤프형 하대를 원동기의 힘으로 기울여 적재물을 중력에 의하여 쉽게 미끄러뜨려 내리는 구조 덤프트럭 밴 형 지붕구조의 덮개가 있는 화물 운송용인 것 윙바디 냉동밴 냉장밴 특수용도형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차체를 특수한 구조로 하거나,..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